오픈AI 이미지 생성, 내 사진은 안전할까? | 지브리 화풍 속 개인정보 이슈

지브리 화풍으로 변환된 내 사진, 오픈AI는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을까?

요즘 SNS를 보면,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뀐 프로필 사진이나 가족 사진이 넘쳐납니다.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표현된 내 모습은 신기하고 예쁘기까지 하죠. 저도 아이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한 번 바꿔봤는데요, 그 결과물은 정말 만족스러웠지만, 마음 한편으론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사진, 혹시 어딘가에 저장돼서 AI 학습에 쓰이고 있는 건 아닐까?”


사진 한 장이 불러온 챗GPT 열풍

최근 챗GPT의 국내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IGA웍스에 따르면, 지난 3월 27일 기준 챗GPT의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는 125만 명을 돌파해, 한 달 전보다 56%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 폭발적인 증가의 배경에는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챗GPT 4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사람들은 앞다투어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하고 ‘지브리 스타일’ 등으로 변환된 결과를 공유하기 시작했죠. 이 재미있는 기능이 유행처럼 번지며, 챗GPT 사용을 처음 접한 사람들도 몰려들게 된 겁니다.

하지만 이 재미 속에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내가 업로드한 사진은 어디까지 안전할까?”


내 사진, AI 학습에 쓰일 수 있다는 사실

오픈AI는 공식적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AI 모델 학습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단, 사용 중인 서비스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 ChatGPT 엔터프라이즈 / 에듀 / 팀 사용자: 입력된 데이터는 학습에 사용되지 않음

  • 무료 / 플러스 / 프로 사용자: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AI 학습에 활용될 수 있음

즉,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업로드한 사진이나 입력한 텍스트가 자동으로 학습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죠.

물론 오픈AI는 특정 인물을 식별하거나 얼굴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은 피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미지 자체를 픽셀 단위로 분석해 눈, 코, 윤곽, 피부톤 등 시각적 특징을 학습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르게 활용되는 외모 데이터? 불안감은 커진다

이쯤 되니, 이런 생각도 들기 시작합니다.
혹시 우리가 모르는 사이, 전 세계 이용자들의 사진이 분석돼 국가별·인종별 외모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현실적인 버추얼 캐릭터를 만드는 데 쓰이고 있는 건 아닐까?

기술이 발전하면서 AI가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얼굴을 만들어내는 데에는 이런 시각 데이터가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됩니다.
단순히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꾸는 재미’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무심코 제공한 이미지가 향후 AI 산업의 연료로 쓰이고 있다면? 생각만으로도 조금은 불안해집니다.


저작권엔 민감, 개인정보엔 무심?

한 가지 아이러니한 점은 있습니다.
많은 이용자들이 지브리 스타일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는 꽤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정작 자신과 가족의 얼굴 정보가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선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유행’이라는 흐름에 휩쓸려, 우리가 지켜야 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감각이 잠시 흐려지는 건 아닐까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설정을 확인하세요

다행히도, 챗GPT는 사용자 스스로 AI 학습에 참여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 번만 설정해두면 이후부터는 입력한 내용이나 업로드한 사진이 AI 학습에 쓰이지 않도록 막을 수 있죠.

📌 ChatGPT에서 AI 학습 비활성화하는 방법

  1. chat.openai.com 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

  2. 왼쪽 하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메뉴에서 **Settings(설정)**을 선택합니다.

  4. 왼쪽에서 **Data Controls(데이터 설정)**을 클릭합니다.

  5. “Chat history & training” 항목을 찾아 비활성화(OFF) 합니다.

✅ 이 설정을 끄면, 이후부터 입력하는 내용이나 이미지가 AI 모델 개선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 기능은 그대로 사용 가능하니 안심하고 꺼두셔도 됩니다.

📱 모바일 앱 사용자는 오른쪽 하단의 ‘···’ → Settings → Data Controls로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쳇gpt 데이터 제어
쳇gpt 데이터 제어
모든 사옹자 대상 모델 개선 비활성화 하기
모든 사옹자 대상 모델 개선 비활성화 하기

마무리하며

기술이 발전하고 편리해질수록, 우리는 종종 ‘내가 뭘 제공하고 있는지’ 잊게 됩니다.
사진 한 장, 대화 한 줄도 이제는 모두 소중한 데이터가 되는 시대. 내 얼굴, 내 가족의 사진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 한 번쯤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정보를 아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히 스스로를 지킬 수 있습니다.
사진을 AI에 맡기기 전에, 설정 한 번 확인해보는 습관. 지금 이 순간부터 시작해보세요.

아마존의 틱톡 인수 시도,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뀔까?

2030 세대가 주목해야 할 소셜 커머스의 미래


아마존이 틱톡을 인수하려는 이유

2025년 4월 5일은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시한입니다.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에 미국 내 운영 중단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이 틱톡 인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이 중 아마존의 인수 제안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소셜 커머스를 강화하고, 젊은 소비자층의 소비 흐름을 선점하려는 전략입니다.

아마존은 이미 틱톡과 협력해 틱톡 내 아마존 제품 구매 기능을 실험한 바 있으며, 이번 인수는 그 연장선으로 해석됩니다.


틱톡 인수로 아마존이 얻게 될 것들

1. 1억 7천만 명의 미국 사용자

아마존은 틱톡을 인수함으로써 막대한 젊은 소비자층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틱톡은 특히 2030 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중 하나입니다.

2. AI 추천 알고리즘

틱톡의 강력한 콘텐츠 추천 AI는 아마존의 쇼핑 알고리즘과 결합할 경우,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3. 소셜 커머스 선점

영상을 보며 바로 구매하는 콘텐츠 기반 쇼핑은 이미 중국, 동남아에서 확산 중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이 구조를 완성하면, 아마존은 전자상거래의 판을 다시 짜게 됩니다.


경쟁자는 누구?

틱톡을 인수하려는 경쟁자는 아마존만이 아닙니다.

  • AppLovin: 모바일 광고 및 AI 기술에 강점을 가진 기업

  • 마이크로소프트: 과거 인수 시도 경험 있음

  • 오라클: 미국 정부와 협업 경험 보유

  • 기타 인물들: 레딧 공동창립자, 샤크탱크 투자자 등도 관심

이들은 모두 국가 안보, 데이터 보호, 기술 활용도 등에서 강점을 내세워 경쟁 중입니다.


인수가 성공하면 달라질 3가지

1. 콘텐츠와 쇼핑의 결합

틱톡 영상을 보며 앱 내에서 즉시 구매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리뷰, 후기, 광고가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녹아드는 시대가 열릴 수 있습니다.

2. 내 취향 저격 알고리즘

틱톡의 AI가 아마존 상품 추천에 활용된다면, 더 개인화된 쇼핑 경험이 만들어집니다. 소비자는 알게 모르게 구매를 유도받게 될 수 있습니다.

3. 개인정보 논란

이 모든 기술은 결국 데이터 활용에 기반합니다. 우리의 소비 습관, 위치, 취향이 모두 기업의 ‘자산’이 되는 시대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의 규제, 사용자 불신도 함께 커질 수 있습니다.


2030 소비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세요. 소셜미디어와 커머스는 더 가까워질 예정입니다.

  • 광고인지 콘텐츠인지 구분하는 눈을 기르세요. 구매 유도에 휘둘리지 않는 똑똑한 소비가 필요합니다.

  • 자신의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마무리: 틱톡을 둘러싼 이 싸움은 우리의 일상에 연결된다

틱톡은 더 이상 단순한 숏폼 영상 앱이 아닙니다. 전 세계 디지털 경제의 미래를 가늠하는 거대한 실험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에 아마존이 서 있습니다.

이 인수전의 결과가 우리의 소비 방식, SNS 활용, 개인정보 보호에 어떤 영향을 줄지 계속 주시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