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프리랜서·1인 자영업자 출산휴가 지원 정책: 나홀로 사장님을 위한 혜택 총정리
서울시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즉 ‘나홀로 사장님’을 위한 출산휴가 지원 정책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습니다.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프리랜서 및 자영업자들이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마련된 정책입니다. 출산 시 생계활동을 하기 어려운 이들이 출산휴가를 할 수 있도록 소득 감소분을 일부 보전해주는 정책입니다.
1. 서울시 프리랜서·1인 자영업자 출산휴가 지원 정책이란?
✅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가 출산 시 총 240만 원의 출산급여 지급
- 기존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150만 원) + 서울시 추가 지원금(90만 원)
- 이는 고용보험 가입자의 출산휴가급여 최저 수준과 동일
- 다태아 산모는 170만원이 추가된 320만원을 지급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 출산한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 또는 프리랜서 남성 대상
- 최대 80만 원 지급
- 배우자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 활동이 있어야 지원 가능
2.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 지원 대상
✔지난해 4월 22ㅇ릴 이후 자녀를 출산한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 출산일 기준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의 경우,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 임산부 출산급여: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출산휴가 종료 후 1년 이내 신청
- 신청 사이트: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https://umppa.seoul.go.kr/hmpg/main.do)
3. 추가 지원: 소상공인을 위한 출산·양육 지원 3종 세트
서울시는 나홀로 사장님들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맞춤형 출산·양육 지원 3종 세트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 출산 및 육아휴직 중 대체인력 채용 시 지원
🔹 아이돌봄서비스 연계: 육아 지원 서비스 제공
🔹 휴업 지원: 출산·육아로 인한 휴업 기간 동안 임대료 및 공과금 지원
이러한 혜택을 통해 출산 후에도 안심하고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4. 서울시 출산휴가 지원 정책, 꼭 챙기세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도 이제 출산휴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대!
고용보험 미가입으로 출산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프리랜서, 특고,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될 것입니다.
📢 출산휴가 지원금 신청을 놓치지 말고, 서울시의 다양한 지원정책도 함께 활용하세요!
👉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hmpg/main.do)